상담 수련과 관련된 궁금한 점들을 확인해보세요
Ctrl + F5를 눌러 새로고침 해보세요.
ASiCT는 수퍼바이저(감독자)가 수련생의 준비도(readiness)—즉 의지(willingness), 능력(ability), 자신감(self‑confidence) 수준에 맞추어 적절한 지도 방식(direction, support)을 선택하도록 돕는 메타 이론적 틀입니다.
핵심은 “매치(match)”와 “성장(move)” 입니다. 현재 수련생의 준비 상태에 맞춰 감독 스타일을 매치(맞추고), 그 스타일을 통해 수련생이 다음 성장 단계로 나아가도록(move) 돕는다는 개념입니다.네 가지 감독 스타일 ASiCT 모델에서는 수련생의 준비 정도에 따라 다음 4가지 감독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각 스타일은 지도(direction, 높은/낮은)와 지지(support, 높은/낮은) 두 축을 기준으로 구분됩니다.
스타일명 | 지도 | 지지 | 주요 특징 |
---|---|---|---|
기술 지도형 (Technical Director) | 높음 | 낮음 | 수련생의 준비도가 낮을 때 적용. 감독자가 매우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지시 제공. 정서적 지지는 최소화하여 기본 과제 수행에 집중. |
교육 멘토형 (Teaching Mentor) | 높음 | 높음 | 준비도가 아직 낮지만,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단계에서 적용. 방향 제시와 함께 정서적 지지와 자료, 참고, 자신감 강화 제공. |
지원 멘토형 (Supportive Mentor) | 낮음 | 높음 | 준비도가 중간 이상일 때 적용. 감독자는 수련생이 계획한 것을 존중하고, 감정적·전문적 지지 제공. 구체적 지시보다는 검토, 공감 중심. |
위임 동료형 (Delegating Colleague) | 낮음 | 낮음 | 준비도가 높을 때 적용. 수련생이 독립적으로 과제를 수행. 감독자는 필요시 경과만 확인하고, 동료처럼 업데이트만 공유받음. |
왜 중요한가? (핵심 요약):
정답은 하나가 아닙니다. 수련생이 어떤 과제나 상담 이슈에 대해 얼마나 준비되어 있는지는 다양한 요소(경험, 자신감, 과제 난이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핵심은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 각 수련생의 현재 상태에 맞춰 감독 방식도 변화시켜야 “효과적 지도”가 가능하고, 수련생도 성장의 길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ASiCT 모델은 감독자에게는 지도 도구(tool), 수련생에게는 자기 성장 경로(path)를 제시합니다.
“매치 & 무브” 전략을 통해, 수련생은 준비도에 맞춰 필요한 지시와 지원을 받고, 스스로 높은 수준의 기술, 자신감, 독립성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Rando, R. A. (2001). Adaptive supervision in counselor training. The Clinical Supervisor, 20(1), 173-182.